문화공간재생
- 사업소개
- 지역의 방치된 공간을 문화콘텐츠 개발과 재생을 통해 일상 속 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하는 사업입니다. 백자도요지 인근 공간을 문화재생을 통해 길 위에서 만나는 지역 문화유산 경험을 제공하여 전통문화의 맥을 잇고 노후 된 골프장 둘레길을 지역문화와 연계한 콘텐츠개발을 통해 문화공간으로 조성 할 계획으로 추진 중인 사업입니다.
군포공예문화축제
- 사업소개
- 지역 공예인들의 재능과 기술을 시민과 나누고 향유하는 축제를 통해 지역의 공예문화 저변확대를 도모하고자 합니다.

참여작가 | 공방 |
---|---|
김진형 | 자봄클 |
정숙영 | 행복한민화 |
박연식 | 동백이 |
서은주 | 로아트 |
오연옥 | 바늘꽃공방 |
이선경 | 식물취향 |
이영림 | 나비바늘꽃 |
주영신 | 모로 뷰 |
김영희 | 삶을 바느질하는 휴인 |
이인자 | 이야기꽃자리 |
최동주 | 노란퀼트 |
김진욱 | 장인건설 |
구영희 | 산화랑 |
이영식 | 흙손공방 |
최정임 | 하늘 빚다 |
김가희 | 김가희공방 |
김기연 | 흙손 공방 |
노여정 | 노여정공방 |
박성숙 | 설영의 도자기 |
김의재 | 에코 인 아트공방 |
고신권 | 아비드 |
관명숙 | 한국푸드카빙 요리학원 |
김명진 | |
이현희 | 핀즈캐빈 |
송은화 | 두유공방 |
조경숙 | 경아트 |
이춘복 | 국일방짜유기 |
임재왕 | 아르볼꼴레 |
이승진 | 아란치아 |
찾아가는 문화활동(2022)
- 사업소개
- 공연 예술단체들이 문화 활동 소외지역을 찾아가 공연을 지원하는 사업 소외지역·계층을 비롯한 시민의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.
- 사업개요
- 사업기간 : 3월 ~ 12월
- 사업대상 : 문화활동 소외계층 등
- 사업장소 : 문화소외 지역, 다중집합장소, 문화 기반시설 등
순번 | 단체명 | 작품명 |
---|---|---|
1 | 프로젝트 한 | 케이크가 쿵! 떡! |
2 | 어니스트 뮤직 | 위로와 힐링의 팝 재즈 공연 |
3 | 창연씨어터 | 윽악극 ‘잊지말아요 ,그대’ |
4 | 한소리 국악단 | 찾아가는 국악공연 |
5 | 다크써클즈 댄스K | 즐거운 발레 콘서트 |
6 | G.folk music | 7080포크이야기 |
7 | 극단 예실 | (인형음악극)독도는 대한민국 우리 땅! |
8 | 윤아트 | 뮤직북 텔링 콘서트 ‘봄봄’ |
9 | 64J | 코사인 크래프(愛 : 드립) |
10 | 극단 마루한 | 국악인형극 ‘이야기 파시오’ |
11 | 홍삼캔디 | 밴드 홍삼캔디의 라떼 콘서트 |
12 | (사)한국음악협회 군포시지부 |
사랑의 콘서트 |
13 | 군포윈드 오케스트라 |
희망은 선율을 타고 |
14 | 극단지음 | 함께 만드는 연극 -반달이 집은 어디일까? |
15 | 마미박예술단 | 찾아가는“효”국악 한마당 |
16 | 전통문화예술단 누리 |
덩싱덩실 타악과 함께 춤을 |
17 | 아르떼 앙상블 | 성악쎄시봉 |
18 | 문화팩토리 마굿간 | 나만 아니면 돼? |
19 | 뮤직트리 | summer holiday in 군포 |
20 | 국악실내악단 비상 |
비상과 함께 국악속으로 풍덩 |
21 | (사)한국국악협회 군포시지부 |
찾아가는 우리음악 나들이 |
22 | 한얼국악예술단 | 타악연희극 맨투맨 |
23 | 조이풀싱어즈 | 시민과 함께하는 음악여행 |
24 | 전통민요예술단 아리소리 |
우리소리 아리소리 |
25 | 라웅 | 체험형 공연<요요서커스:요요는 왜?> |
26 | 날컴퍼니 | 뮤지컬[나는 나비] |
27 | 그랑기타앙상블 | 영화속 클래식 랙쳐 콘서트 |
28 | 하이컴퍼니 | 어린이를 위한 클래식 음악여행 [팡파르] |
29 | 극단 21 | 특별한 시간여행 ‘나는 기와입니다’ |
30 | 늘샘무용단 | 으랏차차 무콘!(무용 콘서트) |
31 | 유상통프로젝트 | 싸운드써커스 |